이번글은 오라클 내장함수 정리하기 두번째 파트인 문자형 함수(Function) 차례입니다. 정말 내장함수들을 공부하면서 느끼지만 종류도 다양하고, 여러번 반복하지 않으면 금방 까먹게 되더라고요. 따로 블로그나 공책에 정리해보는게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 문자 내장함수
문자 내장함수 또한 마찬가지로 반환되는 값이 문자형인 함수를 일컫는 말이며 예제는 dual 테이블을 이용하여 정리하도록 할게요. dual테이블은 쉽게 말해서 테스트용으로 쓸 수 있는 테이블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1. CONCAT(char1, char2)
→ 문자열 연결 함수
2. INITCAP( char ) → 첫 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주는 함수
※ 첫 문자의 정의는 구분자에 의해 분리되는 단어의 첫글자를 의미하며, 알파벳 문자가 아닌 모든 문자를 오라클에서는 구분자로 인식합니다.(한글도 구분자로 인식)
3. LOWER(char) 〃 UPPER(char)
→ 파라미터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모두 대문자로 바꾸는 함수
4. LPAD(expr1, n ,expr2) 〃 RPAD(expr1, n ,expr2)
→ 파라미터 expr1을 n자리만큼 문자열 길이를 늘려서 반환하고, expr1 자릿수가 n보다 작을경우 나머지 공간을 왼쪽 또는 오른쪽에 expr2의 문자열로 채웁니다. (expr2 생략시 공백으로 채워짐)
5.TRIM( [leading / traling / both] ,[trim_character] [from] trim_source)
→ 문자열의 왼쪽 or 오른쪽 or 양쪽 모두에서 지정된 문자나 공백을 제거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trim_character를 지정할 경우 지정된 문자를 제거하며, 지정하지 않으면 공백문자를 제거합니다. 일반적으로 공백문자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Leading / Traling / Both 를 생략하면 디폴트값은 Both.
※ Leading을 지정하면 trim_character와 동일한 선행문자를 삭제.
※ Trailing을 지정하면 trim_character와 동일한 후행문자를 삭제.
※ both를 지정하면 trim_character와 동일한 선행 및 후행 문자를 삭제.
※ VARCHAR2형식의 데이터타입을 반환하고, 값의 최대길이(length)는 trim_source의 길이.
6. LTRIM(char, set) 〃 RTRIM(char, set)
→ 파라미터인 char에서 set으로 지정된 문자를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제거한 결과를 반환하며 set이 생략될 경우 공백문자 하나가 사용됩니다.
7. SUBSTR(char, position, length) 〃 SUBSTRB(char, position, length)
→ 문자열의 일부를 분리하는 함수로 position으로 지정된 위치에서 length개의 문자수만큼 (SUBSTRB 함수는 바이트수)을 분리하여 반환합니다. 자바와 다르게 문자열의 인덱스가 1부터 시작하며 만약 position값이 0일 경우 디폴트값 1이 적용됩니다.
▲ substr 예제
▲ substrB 예제
8. REPLACE(char, search_string, replace_string)
→ 문자열 중 일부를 찾아 다른 문자열로 변경하고 그 결과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 문자열 단위로 찾아 반환하고, replace_string에 null값을 줄수 있으며, 생략시 null값을 가집니다.
→ 동일한 기능으로 TRANSLATE(char, search_string, replasce_string) 함수도 있습니다.
■ 반환되는 값이 숫자형인 문자 내장함수
1. ASCII ( char )
→ 특정문자의 ASC II 코드값을 반환하는 함수.
→ 문자에 대응하는 함수로는 chr()함수가 있습니다.
2. LENGTH( char ) 〃LENGTHB( char )
→ length는 문자열의 문자개수를 반환하는 함수.
→ lengthB는 문자열의 바이트수를 반환하는 함수.
3. INSTR(string, searching_string, position, occurrence)
→ 대상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아 그 시작위치를 반환하는 함수.
→ position과 occurrence는 생략 가능하며 디폴트값은 1입니다.
→ position은 시작 위치 / occurrence는 몇번째 값을 찾아야 하는지를 지정합니다.
▼ 관련글
2015/12/20 - 오라클〃[공부]5. Oracle 숫자 내장함수(Function)
2015/12/20 - 오라클〃[공부]7. Oracle 날짜 내장함수
2015/12/20 - 오라클〃[공부]8. Oracle 변환 내장함수
'프로그래밍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공부]10. NULL 내장함수 (NVL / NULLIF) (0) | 2015.12.20 |
---|---|
오라클〃[공부]9. Decode 함수와 Case 표현식 (0) | 2015.12.20 |
오라클〃[공부]8. Oracle 변환 내장함수 (0) | 2015.12.20 |
오라클〃[공부]7. Oracle 날짜 내장함수 (0) | 2015.12.20 |
오라클〃[공부]5. Oracle 숫자 내장함수(Function) (0) | 2015.12.20 |
오라클〃[공부]4. Oracle Select 총 정리 (0) | 2015.12.18 |
오라클〃[공부]3. DML / DDL / DCL 비교 (0) | 2015.12.18 |
오라클〃[공부]2. Oracle 기본 데이터 타입 (0) | 2015.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