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저번글에서는 문장중에 특정한 문자를 읽거나, 쉼표나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배열을 저장하는 문자열의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StringTokenizer 클래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split과 둘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split은 String클래스의 메소드로 추출한 문자를 배열로 저장하고, StringTokenizer는 메소드가 아니라 java.util에 포함되어 있는 자체 클래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는 방법이 다르고 StringTokenizer클래스는 내부에 꼭 넣어야 하는 메소드가 존재합니다. ■ StringTokenizer의 3가지 메소드 이 클래스는 문자열을 토큰이라는 용어로 부르는데 사용방법은 메소드를 이용하여 전체 토큰의 수는 몇개 있는지, 사용할 토큰이 있는지를 ..
어제 배열까지 정리함으로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개념들은 어느정도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슬슬 일도 구해야 되서 jsp와 spring에 대해 포스팅하기 전에 String 문자열 관련 명령어들을 살짝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몇달전 학원에서 강사님이 타자프로그램을 만들어보라 하셨는데 어려웠던 부분이 String 문자열 이더라고요. 그래서 문자열(1)에서는 문장중에 있는 문자를 추출하는 charAt()과 문자열 잘라내기인 substring() 그리고 문자열을 구분하여 배열에 저장하는 split()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문자열(2)글에서는 StringTokenizer에 대해 정리할게요. ■ charAt (문장중에 인덱스 위치에 해당되는 문자 추출하기) 위 예제를 해석하면 aaa에 문장을 저장하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