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사이트맵의 중요성 블로거의 가장 관심사항중 하나인 내 블로그 글이 검색에 잘뜨게 하기 2탄입니다. 저번글에서는 네이버웹마스터도구에 티스토리를 등록하여 로봇의 수집 및 원활한지 알아 볼 수 있었는데요. 기본적인 RSS로 등록을 했기에 양적인 부분에서 전체적인 수집보다는 아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서 간단하게 RSS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블로그에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준 포맷 XML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015/08/26 -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 활용 (1) 수집확인 그렇다면 양적인 해결 방법이 무엇이냐하면 바로 사이트맵으로 등록하는것이에요. 블로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이트맵을 XML로 만들어 웹마스터에 올리면 아무래도 업데이트되는 정보만 받는..
이전글1)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 활용 (1) 수집확인 ■ 신디케이션은? 이전글에선 내 블로그 글이 얼마나 수집되는지 확인이 가능했다면 이번글에서는 네이버 웹마스터 기능중 신디케이션이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일반적인 네이버의 검색방법은 웹로봇을 이용한 일반적인 무작위 크롤링 기법으로 웹사이트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려우면서도 웹사이트에 부하를 주는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신디케이션은 부하를 최소화 하고 원하는 부분만 검색서비스에 반영 할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죠. 또한 신규 컨텐츠나 수정된 컨텐츠가 검색서비스에 쉽게 반영 된다고 하니 좋은 시스템인것에는 분명합니다. 허나 이부분은 초보자들이 다룰 수 없고, 웹 개발이 가능한 사람들만 사용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와 같은 경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