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제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의 10분의 1정도 완성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결과물을 얻는 개발 카테고리는 제목 (1)부터 쭉 순서대로 따라오시는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한번 정리했던 부분에 대해서 그냥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중간부터 본다면 벙찔수 있기 때문이죠. 그럼 이번글에서는 데이타를 접근하게 만드는 DAO(Data Access Object)클래스를 만들어 볼텐데요. 저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DI기능을 이용할것이기에 Service 주입에 대한 DAO도 따로 만들었습니다. ■ board.dao와 board.service 패키지 생성 패키지 생성은 마우스를 board에 가져다 놓고 우클릭 후 패키지를 눌러 만듭니다. board.dao의 구성 클래스파일로는BoardDao를 인터페이스로 만들어 BoardD..
지금까지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 중 단순 HTML로 화면만을 구성해보았는데요. 11월 25일날 작성하고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공부하느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이제 이 프로젝트에 필요한 부분은 숙지했으니 막힘없이 한번 만들어볼까요~~ 게시판 (3)번 제목부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면서 그동안 만들었던 jsp파일을 WEB-INF폴더안에 옮길거라 출력되는 화면이 없어 지루하실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WEB-INF안에 있는 파일은 보호화되면서 Run시키면 경로를 찾을수 없는 404오류가 뜨기 때문이죠. 또한 (2)번 제목까지 Board_Write파일이 진행되면 Board_Write_action파일로 전송되게 했는데, 서블릿을 이용하면서 이 파일들을 지우겠습니다. 아참 저번까지 Color Scripter 적용..
MVC 패턴 흐름을 정리하면서 새로운 용어인 DispatcherServlet이라는게 새로 튀어나왔죠? 바로 저번글에서 한번에 정리할까 하다가 그냥 따로 하나의 주제로 정리하는게 낫다 싶어서 게시글을 분리했습니다. 먼저 사전적 의미로 Dispatcher는 분배하다, 배치하다, 보급하다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니 DispatcherServlet이라 함은 서블릿을 배치하고 분배하고 보급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겠네요. 앞으로 이 글에서 눈의 피로도를 피하기 위해 디스패쳐서블릿이라 부르겠습니다. 디스패쳐 서블릿의 역활은 MVC구조중 가장 중간에 위치하여 웹브라우저에서 요청한 정보를 받아 핸들러매핑에 역활을 분배하고, 컨트롤러에서 보내온 정보를 받아, 뷰리졸버에 전달후, 뷰에서 출력된 화면을 웹에 다시 전송해주는 역활..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게시판을 짜기 위해 MVC(Model / View / Controller) 패턴을 사용할 예정이라 이번글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 MVC 패턴은 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며칠전에 스프링 모델설계를 정리했던 글을 보고 오시면 이해가 빨리 될거라 생각합니다. 일단 빠른 진행을 위해 저번에 만들었던 사진을 아래에 첨부하겠습니다. - SpringFrameWork 모델 설계 사진 - 도움되는글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MVC 모델 구조 저번글에서 설명했듯이 Controller(서블릿)와 Model(JavaBean) 그리고 View(JSP)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유지보수가 쉽게 원활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요번글에서는 단지 어려운 용어가 새로 생겨났을뿐이지 흐름은 비슷합..
스프링프레임워크의 두번째 장점인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기능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AOP는 관점지향프로그래밍이라 불리며 구글번역기로 돌리면 가로지향프로그래밍이라 뜨는데 가로지향이라 외우시는게 머리속에 기억 남으실겁니다. 밑에서 AOP 구조를 그림으로 설명하게 될텐데 설명전에 왜 관점지향이 아니라 가로지향을 자꾸 언급하는지 아시게 될거에요. 먼저 AOP 기능을 스프링에서 지원하는게 왜 장점일까요?? 제 나름대로 한가지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은행과 같이 보안이 1순위인곳에서 프로그램을 짜는데 각 클래스파일마다 보안기능을 넣을라면 얼마나 귀찮을지 상상이 됩니다. 물론 꼭 넣어야 할 곳만 몇개 추가한다면 상관없겠지만 보안기능만을 갖추고 있는 모듈을 하나 만들어 공통적으로 ..
저번글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MVC 모델을 그림으로 정리해보면서 왜 사용하는지 필요성을 느끼게 됬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스프링의 장점을 알아보려 했다가 방대한 양을 느끼고, 전부 정리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에 필요한 DI 와 AOP에 대해서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알게된 DI가 도대체 무엇인지.. Dependency Injection의 약자라고 하지만, 한글로 번역한 의존성 주입이라는 말만 들어도 이해하기 정말 어렵네요. 평소에 거의 듣지 못하는 단어라 생소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글의 순서를 (1) 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2) 스프링에서 DI 기능, (3) DI 설정방법에 대해 정리하도록 방향을 잡았습니다. ■ 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