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바에서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많이 접하게 되는 final은 마지막, 최종적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수나 메소드의 값을 수정할 필요없이 고정시킬때 많이 사용됩니다. 저는 회원가입을 만들때 자바에서는 아이디와 주민번호 타입앞에 final을 넣는데 SQL에서 Primary Key를 설정해둔것 같이 코딩을 하곤 그랬습니다. 보통 final 타입 변수명 = "초기값"; (ex : final String Userid = "jihun";)으로 사용하고 이때 초기값을 설정해주지 않았다면 생성자에서 초기값을 설정해서 사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만약에 생성자에서 초기화 해주는 작업을 잊어버렸다면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하는게 좋습니다. ■ 변수에서 final을 사용하는 경우 final은 변수나 상수에서 선..
자바의 클래스는 필드와 메소드 그리고 생성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그 중 첫번째 필드에 대해서 필드의 선언과 사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예전 객체지향언어를 정리하면서 사람을 객체라고 한다면 이름이나 나이, 키와 몸무게등등 특징적인 정보들이 필드라 하고 동작에 해당되는 움직인다, 물을 마신다, 밥먹는다 등등 동작에 해당되는 것들은 메소드라고 정리해볼 수 있었습니다. [프로그래밍/Java] - 자바(Java)〃객체지향 vs 절차지향 비교+장점과 단점 필드의 선언과 사용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클래스의 구성과 객체의 구성을 먼저 볼게요. 객체는 필드와 메소드로 이루어져 있고 클래스는 객체에 생성자라는 요소가 하나 추가되었죠? 그렇다면 필드는 클래스 내부에 사용된다는 것을 알겠는데.. 무엇때문에 선언 위치가 중요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