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바에서 클래스의 3대 구성요소는 필드와 메소드 그리고 생성자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저번글에서 필드의 선언, 전역변수와 지역변수의 차이, 필드의 사용 예제들을 다루었고 이번에는 제일 중요한 생성자에 대해서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링크 → 자바(Java)〃필드와 변수의 선언위치와 초기값(전역변수,지역변수) 생성자는 말그대로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를 하는 역활을 담당하고 있으며, 생성자를 실행할 수 없다면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할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클래스에는 생성자가 한개 이상 반드시 존재하며 따로 선언을 하지 않더라도 보이지 않는 디폴트 생성자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디폴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기본 생성자라고도 부르며 디폴트 생성자는 클래스에 매개변수나 아무 생성..
자바의 클래스는 필드와 메소드 그리고 생성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그 중 첫번째 필드에 대해서 필드의 선언과 사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예전 객체지향언어를 정리하면서 사람을 객체라고 한다면 이름이나 나이, 키와 몸무게등등 특징적인 정보들이 필드라 하고 동작에 해당되는 움직인다, 물을 마신다, 밥먹는다 등등 동작에 해당되는 것들은 메소드라고 정리해볼 수 있었습니다. [프로그래밍/Java] - 자바(Java)〃객체지향 vs 절차지향 비교+장점과 단점 필드의 선언과 사용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클래스의 구성과 객체의 구성을 먼저 볼게요. 객체는 필드와 메소드로 이루어져 있고 클래스는 객체에 생성자라는 요소가 하나 추가되었죠? 그렇다면 필드는 클래스 내부에 사용된다는 것을 알겠는데.. 무엇때문에 선언 위치가 중요하..
웹개발 할때 필요한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중에 자바를 공부하는 이유 하나만 말하자면, 자바는 객체를 지향하는 언어라 사용하기 쉽고 편리하기 때문인데요. 객체 지향이 무엇인지 알아보자면 그 반대인 절차지향 언어와 비교해서 한번 알아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대표적으로 C언어가 절차지향 언어로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인 알고리즘을 중요시하며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헷갈리기 쉬운점은 절차지향을 사용할때 외부적으로 객체지향과 같은 처리를 하는걸로 보일 수 있으나, 여기서 말하는 순차적 실행은 프로그래밍 내부적으로 함수 호출을 할때 순서대로 처리하는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절차지향 언어의 장점과 단점입니다. 단점은 많지만 제가 알고있는 장점은 실행처리속도가 빠르다라는 것만 알고 있기 때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