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저번글에서는 검색로봇이 홈페이지나 웹사이트에 방문할 수 있도록 루트(ROOT)폴더에 robots.txt 파일을 만들었는데요. 이번엔 검색로봇이 좋아하는 메타 태그를 작성해보려고합니다. 메타 태그(Meta Tag)는 index나 메인페이지에서 소스로 작성하는 태그입니다. ■ 메타 태그(Meta Tag) 작성법 모든 메타 태그는 사이에 작성합니다. 1. 로봇의 방문 설정* 로봇 종류별 허용 → 모든 로봇의 방문을 허용 → 구글로봇만 방문 허용 → 로봇방문을 허용하지 않음 * 로봇 명령( index OR noindex // follow OR nofollow ): index는 로봇이 본페이지 방문을 허용하는지, follow는 로봇이 본페이지의 링크세테이션을 기준으로 방문을 허용하는지 기준입니다. 아래와 같이 사..
텍스트와 폰트에 필요한 태그에 이어 이번에는 목록을 만드는 태그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목록 태그는 회원가입 프로그램을 만들때 많이 접해봤는데 여러개의 태그중에 어떤 것을 써야될지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 목록 태그( ul / ol / dl ) 〃 CSS를 입히지 않은 ul / ol / dl 출력 모습 〃 목록태그에는 크게 3가지로 순서가 없이 리스트로 나열되는 목록, 차례대로 순서가 있는 목록, 정의를 내리고 설명을 하는 목록이 있습니다. 스타일을 꾸미는 CSS를 적용하면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어 유용하게 쓰입니다. ● : 순서가 없는 목록을 그룹으로 만듬.● : 순서가 있는 목록을 그룹으로 만듬.● : 그룹안에 들어가는 세부 항목들● : 정의를 내리는 그룹● : 정의를 내리는 목록..
이전 글에서는 HTML5의 기본구조에 해당되는 시맨틱 태그들을 알았보았는데요. 그렇다면 이제는 텍스트를 꾸미는 태그를 정리해볼까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폰트 태그를 다뤄볼 계획이고요. 제가 디자인이나 섬세한걸 다루는데에는 소질이 없어 HTML을 대충 공부했기 때문에 지금 정리하는 이 순간에도 처음 공부하는 느낌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눈에 쏙들어오게 정리할까 생각중인데 마음처럼 될련지 모르겠네요.. ■ 태그 vs 태그 (줄을 바꿀때) 가장 먼저 줄을 바꿀때 사용되는 태그인 과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가지를 설명하기도 벅찬데 두가지를 비교하게 되는건 용도는 비슷하지만 출력되는게 달라서 같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태그는 로 끝낼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줄넘기는 용도로 사용하면 됩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