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제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의 10분의 1정도 완성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결과물을 얻는 개발 카테고리는 제목 (1)부터 쭉 순서대로 따라오시는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한번 정리했던 부분에 대해서 그냥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중간부터 본다면 벙찔수 있기 때문이죠. 그럼 이번글에서는 데이타를 접근하게 만드는 DAO(Data Access Object)클래스를 만들어 볼텐데요. 저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DI기능을 이용할것이기에 Service 주입에 대한 DAO도 따로 만들었습니다. ■ board.dao와 board.service 패키지 생성 패키지 생성은 마우스를 board에 가져다 놓고 우클릭 후 패키지를 눌러 만듭니다. board.dao의 구성 클래스파일로는BoardDao를 인터페이스로 만들어 BoardD..
저번글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MVC 모델을 그림으로 정리해보면서 왜 사용하는지 필요성을 느끼게 됬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스프링의 장점을 알아보려 했다가 방대한 양을 느끼고, 전부 정리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에 필요한 DI 와 AOP에 대해서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알게된 DI가 도대체 무엇인지.. Dependency Injection의 약자라고 하지만, 한글로 번역한 의존성 주입이라는 말만 들어도 이해하기 정말 어렵네요. 평소에 거의 듣지 못하는 단어라 생소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글의 순서를 (1) 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2) 스프링에서 DI 기능, (3) DI 설정방법에 대해 정리하도록 방향을 잡았습니다. ■ 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