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 프로젝트로 웹사이트를 만드는 중에 Spring Framework에 포함 되어있는 SessionLocaleResolver를 사용하고 싶어졌습니다. 한글만 사용한다면 그냥 jsp 파일에 이름을 나열하면 되지만, 영어사이트도 단 한번의 클릭으로 다국어 기능을 지원하고 싶었거든요. 꼭 다국어 지원을 위해 사용될 필요는 없지만 message를 properties 한곳에 정리해서 사용하려면 이번글은 유용할 것 같습니다. 저는 이클립스를 사용하기 때문에먼저 이클립스 플러그인 PropEdit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클립스 메뉴 Help → Install New Software로 들어가서http://propedit.sourceforge.jp/eclipse/updates/주소를 입력하여 플러그인을 검색하고, 위..
이클립스를 설치하고 아무 설정도 건드리지 않았다면 기본 인코딩 타입은 EUC-KR로 되있을 텐데요. 한국내에서 사용한다면 아무런 불편함을 느낄 수가 없지만 전세계적으로 공통된 타입인 UTF-8로 바꾸고 싶을떄는 일일이 바꿔줘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럴때 간편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이번 포스팅에서 쓰려고 합니다. 초보자들도 쉽게 따라 할수 있는 방법이니 천천히 따라오세요. ■ 프로젝트 폴더에서 설정 ( Properties:등록 ) 만드는 프로젝트 폴더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후 제일 밑에 있는 Properties를 눌러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프로젝트 설정창에서 Resource로 들어가 Other에서 UTF-8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 상단메뉴에서 변경 ( Preferences:환경설정 ) 상단메뉴에 있는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