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예전부터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공부하면서 왜 사용해야되고 공부해야 되는지 이유에 대해서 궁금했는데요. 그 이유 중 하나는 기존에 사용 모델 방식이 JSP와 JavaBean만을 이용해 개발속도가 빨랐지만 단점으로 1.코드가 복잡하다 2. 컨트롤러와의 구분이 애매해서 유지보수가 어려워 사용하게 됬다고 해요. 반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게 되면 Model, View, Controller 3가지 조화로 로직이 확실하게 분리되어 유지보수가 쉬워지게 됩니다. ■ JSP와 JavaBean만을 사용한 모델 (스프링x)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되었던 모델을 그림으로 정리하자면 이런거죠. 웹 브라우저에서 JSP로 요청하면 JavaBean에서 자원을 받아와 JSP에 뿌려주고 바로 웹브라우저에 전송하는 방식이였습..
이전글1) 자바의 시작 JDK SE설치하기2) 자바 JDK 환경변수 설정하기3) 이클립스(Eclipse) 쉽게 설치하자 아파치 톰캣이란? 이전글에서 JDK와 이클립스를 설치하시고 오셨다면 이번엔 가상서버를 이용한 JSP 개발을 하신다면 필요한 프로그램이죠 바로 아파치 톰캣(Apache Tomcat)입니다. 아파치는 설치된 컴퓨터를 웹 서버로 만들어 주는 역활을 합니다. 외부에서 8080 8005번등 포트를 통해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호출 신호가 들어오면 아파치 설정에 따라 웹 페이지에 전송해주는 일을 하는 프로그램이죠 톰캣은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해서 자바코드를 이용한 HTML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파치 톰캣설치하기 그럼 아파치 톰캣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최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