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후.. 조인은 예제로 공부해도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아 어렵지만 그래도 내부조인과 외부조인에 이어 나머지 크로스조인과, 셀프조인, 세미조인, ANSI조인까지 마무리 해야겠어요. 내부조인과 외부조인만 제대로 숙지하고 있어도 불편함은 없겠지만 블로그에 공부목적으로 정리를 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예제를 실습하면서 살펴볼까합니다. ■ 크로스 조인 크로스 조인(Cross Join)은 Cartesian Product라고 하며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조인이라고 할 수 없는데요. 테이블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산출하여 나타내는 조인입니다. ■ 셀프 조인 셀프조인(Self-Join)은 동일한 테이블을 대상으로 조인을 맺는 것을 말하며 반드시 별명을 붙여서 사용합니다. 동..
오라클에서 자주 사용되는 작업중 하나가 이 글에서 정리할 JOIN이라는 것인데요. 그동안 하나의 테이블에서 DML 명령어를 이용했지만 이번엔 서로 다른 테이블간에 상호연결을 하는 JOIN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조인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여기서는 내부조인과 외부조인을 정리하고, 다음글에서 나머지 조인들을 정리할 예정이고 예제는 Oracle의 기본 사용자인 HR계정을 통해 실습하도록 할게요. ■ 조인 ( JOIN ) 1. 조인이란?? → 서로 다른 테이블간에 설정된 관계가 결합하여 1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 됩니다. 이 때 테이블간의 상호 연결을 조인이라고 하는데요. 각각의 테이블에 분리된 연관성 있는 데이터를 연결하거나 조합해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을 조인이라고 합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