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저번글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MVC 모델을 그림으로 정리해보면서 왜 사용하는지 필요성을 느끼게 됬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스프링의 장점을 알아보려 했다가 방대한 양을 느끼고, 전부 정리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에 필요한 DI 와 AOP에 대해서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알게된 DI가 도대체 무엇인지.. Dependency Injection의 약자라고 하지만, 한글로 번역한 의존성 주입이라는 말만 들어도 이해하기 정말 어렵네요. 평소에 거의 듣지 못하는 단어라 생소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글의 순서를 (1) 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2) 스프링에서 DI 기능, (3) DI 설정방법에 대해 정리하도록 방향을 잡았습니다. ■ 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 ..
예전부터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공부하면서 왜 사용해야되고 공부해야 되는지 이유에 대해서 궁금했는데요. 그 이유 중 하나는 기존에 사용 모델 방식이 JSP와 JavaBean만을 이용해 개발속도가 빨랐지만 단점으로 1.코드가 복잡하다 2. 컨트롤러와의 구분이 애매해서 유지보수가 어려워 사용하게 됬다고 해요. 반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게 되면 Model, View, Controller 3가지 조화로 로직이 확실하게 분리되어 유지보수가 쉬워지게 됩니다. ■ JSP와 JavaBean만을 사용한 모델 (스프링x)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되었던 모델을 그림으로 정리하자면 이런거죠. 웹 브라우저에서 JSP로 요청하면 JavaBean에서 자원을 받아와 JSP에 뿌려주고 바로 웹브라우저에 전송하는 방식이였습..
웹 기반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Java나 JSP, HTML 이정도만 알고 있으면 좋으련만 웹 컨테이너의 한계로 프레임워크를 또 공부해야 하네요. 스프링(Spring)은 현재 공공기간이나 대부분의 회사에서 사용될 정도로 배워두면 정말 유용하게 쓰일것 같은데요. 역시 영어로만 이루어져서 한 눈에 보기 어려워 머리가 아픕니다. 그래도 스프링을 안 배우면 웹개발자가 되지 못하니 열심히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스프링을 다루기 위해서는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나 플러그인이 있어야 되는데요. 이 카테고리에서는 이클립스에서 스프링 플러그인을 설치해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스프링 개발툴(STS)을 이클립스(Eclipse)와 연동 이클립스를 실행한다음 상단 메뉴인 Help의 Eclipse Marketplace를..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