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글에서는 게시판 프로젝트중에 가장 중요한 부분인 컨트롤러 부분에 대해 만들어 보겠습니다.다시 복습겸 MVC패턴과 게시판 순서를 되짚어보면 웹컨테이너에서 디스패쳐 서블릿으로 해당정보를 요청합니다. 그걸 web.xml에서 디스패쳐 서블릿 설정을 하고 URL매핑을 합니다. 저는 *.action 으로 설정해주었고요. 다음 을 board로 지었기에 board-servlet.xml에서 핸들러매핑으로 받아 컨트롤러로 향하도록 정해줍니다. board-servlet.xml에서 리스트를 예로 들면 listController 소스코드가 있습니다. 그 의미는 자바파일 중 ListController의 이름으로 된것에 연결하고 그 안에 /boardList.action의 정보가 들어가 있을 것이죠. ▼ 관련글 2015/11/3..
지금까지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 중 단순 HTML로 화면만을 구성해보았는데요. 11월 25일날 작성하고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공부하느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이제 이 프로젝트에 필요한 부분은 숙지했으니 막힘없이 한번 만들어볼까요~~ 게시판 (3)번 제목부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면서 그동안 만들었던 jsp파일을 WEB-INF폴더안에 옮길거라 출력되는 화면이 없어 지루하실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WEB-INF안에 있는 파일은 보호화되면서 Run시키면 경로를 찾을수 없는 404오류가 뜨기 때문이죠. 또한 (2)번 제목까지 Board_Write파일이 진행되면 Board_Write_action파일로 전송되게 했는데, 서블릿을 이용하면서 이 파일들을 지우겠습니다. 아참 저번까지 Color Scripter 적용..
MVC 패턴 흐름을 정리하면서 새로운 용어인 DispatcherServlet이라는게 새로 튀어나왔죠? 바로 저번글에서 한번에 정리할까 하다가 그냥 따로 하나의 주제로 정리하는게 낫다 싶어서 게시글을 분리했습니다. 먼저 사전적 의미로 Dispatcher는 분배하다, 배치하다, 보급하다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니 DispatcherServlet이라 함은 서블릿을 배치하고 분배하고 보급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겠네요. 앞으로 이 글에서 눈의 피로도를 피하기 위해 디스패쳐서블릿이라 부르겠습니다. 디스패쳐 서블릿의 역활은 MVC구조중 가장 중간에 위치하여 웹브라우저에서 요청한 정보를 받아 핸들러매핑에 역활을 분배하고, 컨트롤러에서 보내온 정보를 받아, 뷰리졸버에 전달후, 뷰에서 출력된 화면을 웹에 다시 전송해주는 역활..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게시판을 짜기 위해 MVC(Model / View / Controller) 패턴을 사용할 예정이라 이번글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 MVC 패턴은 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며칠전에 스프링 모델설계를 정리했던 글을 보고 오시면 이해가 빨리 될거라 생각합니다. 일단 빠른 진행을 위해 저번에 만들었던 사진을 아래에 첨부하겠습니다. - SpringFrameWork 모델 설계 사진 - 도움되는글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MVC 모델 구조 저번글에서 설명했듯이 Controller(서블릿)와 Model(JavaBean) 그리고 View(JSP)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유지보수가 쉽게 원활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요번글에서는 단지 어려운 용어가 새로 생겨났을뿐이지 흐름은 비슷합..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