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vue 공부를 하다보니 정말이지 환경설정 잡는게 제일 어려운것 같다. 각 패키지 버전이 안맞으면 계속 에러나고, 에러를 잡고 다른 패키지 설치하면 또 에러가 나고 그래서 NPM 설치 명령어 정리를 해야겠다. 모든 옵션은 레퍼런스를 참고하면 되고, 내가 사용해본 옵션들 위주로 정리해본다. NPM install (전체 설치) npm install npm i package.json에 정의된 모든 패키지를 설치한다.(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 ALL), 에러가 나거나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재빌드할때, 배포환경에서 빌드할때 등의 상황에서 사용. NPM uninstall (패키지 삭제) npm uninstall vue-loader npm rm vue-loader 패키지를 제거할때 사용된다..
친구가 우연한 기회로 노트북을 얻었는데, 정품인증 오류가 생겨 검색해 보던 중 유용한 CMD 명령프롬포트 명령어를 알게됬습니다. 당연히 이런 정보는 공유 공유~!! ■ slmgr -dlv 첫번째로 윈도우 버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이 명령어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중간 중간에 있는 l인지 I인지 헷갈리시는 부분이 계신다면 모두 알파벳 엘(L) 입니다. ■ slmgr -xpr 두번째로 윈도우 정품인증이 됬는지 이 명령어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저와 같은 경우에는 정품인증 오류로 인해 Windows가 알림 모드에 있습니다. 라고 뜨는데요. 정품인증을 받으신 분이라면 정품인증이 되어있다고 알림이 뜹니다.
리눅스에서 완전 자주 사용하게 되는 VI 와 VIM 명령어 단축키 모음입니다. 검색해보면 단축키 모음 사진이 정말 많아서 무엇을 골라 정리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똑같은 사진도 많아서 출처를 명시하기엔 적당한 사진도 없어 찾아 보다가 영문으로 됬지만 각각 용도에 따라 정리되 있고, 출처도 같이 적혀있는 사진을 가져왔습니다. 저작권에 문제 있을시 답글 달아주세요. ■ 일반 모드 ■ 반복 작업 ■ 복사 / 붙여넣기 ■ 검색 ■ 매크로 및 북마크 ■ 기타 모션 ■ 기타 명령어 ■ 명령어 모음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정리합니다. 윈도우와는 명령어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따로 정리 해놓지 않으면 쓸 일도 없고, 생각도 안날 것 같아서 계속 쭉 정리해보겠습니다.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2가지가 있는데요. 먼저 Data Free 의 약자인 $ df 명령어입니다. 위와 같이 1 kb단위와 사용된 kb , 사용가능한 kb를 리스트로 출력되서 나옵니다. 아무래도 메가바이트와 기가바이트에 익숙해진 사람들이라면 한눈에 파악하기 힘들죠. $ df -h 그래서 그 다음 명령어에 Human의 약자인 -h를 추가하면 위와 같이 한눈에 알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 2가지 말고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10가지 정도 더 있는데요. $ man df 명령어를 실행하여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