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야.. 리눅스에서는 크롬 하나 다운 받아서 실행하기도 진짜 힘드네요. 윈도우를 너무 오래 사용해서 그런지 너무 낯설지만 그래도 익숙해져야죠 !! 갈 길이 멀지만 간단한 기초부터 천천히 시작해야겠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구글(Google) 크롬 설치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할게요. 1. 터미널을 열어서 크롬의 저장소를 새로 하나 만듭니다.# vi /etc/yum.repos.d/ google-chrome.repo 2. 그 저장소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 [google-chrome] name=google-chrome baseurl=http://dl.google.com/chrome/rpm/stable/x86_64 enabled=1 gpgcheck=1 gpgkey=https://dl-ssl.goog..
Linux 종류 중 먼저 CentOS를 사용하고 있는 저는 다른 종류의 Linux에서 명령어가 안 먹힐지도 모르기 때문에 미리 CentOS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씀드립니다!! 윈도우에선 압축 파일을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푸는데 리눅스에서는 명령어를 이용해서 풀어야 하더라고요. 그래서 정리 해봤습니다. 쌍 따옴표"" 는 구분을 위해 사용한거니 실제로 사용하실 경우 빼주시면 됩니다. 1. tar 압축 풀기→ tar xvf "파일 or 폴더명" 2. tgz / tar.gz 등 압축 풀기→ tar xvfz "파일명" 3. 파일만 묶어서 압축→ tar cvf "파일명.tar" "파일 or 폴더명" 4. 파일 압축→ tar cvfz "파일명.tar" "파일 or 폴더명"→ tar cvfz "파일명.tgz' "..
윈도우 운영체제만 사용하다 리눅스에 관심이 생겨 다른 컴퓨터에 잠시 윈도우를 밀고 CentOS 7을 설치했는데요.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눅스로 넘어가니 듀얼 모니터를 잡질 못하네요.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되나 봅니다. 하지만 리눅스에서 그래픽 카드를 확인하니 Gallium 0.4 on llvmpipe (LLVM 3.6, 256 bits) 이렇게만 뜨니 구글링을 아무리 해봐도 답이 안나오더라고요. 그래서 해결한 방법은!! 그냥... 터미널 명령어를 이용해서 알아 내는겁니다. 1. 그래기픽 카드 알아내기$ lspci | grep -i vga ← 앞에는 영어 L / i 뒤에는 shift+\ 2. 운영체제 비트 수 확인하기$ uname -m 아주 간단하죠~~??
※ 참고 : Linux/CentOS 카테고리는 이제 막 서버쪽을 배우기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정리하기 위한 용도이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 터미널을 열고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명령어로 들어가서 i를 눌러 편집모드로 변환한후 IPADDR= IP주소NETMASK= 넷마스크GATEWAY= 게이트웨이DNS1= DNS주소1DNS2= DNS주소 2 위와 같이 내용을 추가합니다.esc를 눌러 편집모드를 벗어난 뒤 :wq로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 service network restart 다음 네트워크를 재시작해주시구요~ 마지막으로 위와 같이 윈도우와 리눅스간에핑을 한번 보내면서 테스트해보면 됩니다.
※ 참고 : Linux/CentOS 카테고리는 이제 막 서버쪽을 배우기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정리하기 위한 용도이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리눅스 중 CentOS를 윈도우에서 돌리기 위해 가상머신인 VMWare로 설치했지만 자세한 비트수를 몰라 설치를 하기 망설여 졌습니다. 하지만 명령어 하나로 쉽게 알 수 있다니 완전 쉽고 간편하네요. ▶ 리눅스 비트수 확인→ getconf LONG_BIT ▶ 더 자세한 정보 확인하기→ file /sbin/init
윈도우에서 리눅스 CentOs로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손쉽게 복사가 되지만 파일 변환을 해줘야 실행이 가능합니다. 그걸 쉽게 가능하게 해주는게 wine인데요. Wine을 설치하려 yum install wine 명령어를 넣어도 패키지가 없다고 에러가 떠버립니다. 해결하는 방법은 EPEL software repository를 설치하면 된다네요. http://fedoraproject.org/wiki/EPEL/FAQ#howtouse 위 링크를 따라가보시면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 Using EPEL이란 항목에 For EL5 / For EL6 / For EL7 이 보일텐데저는 For EL7을 설치하겠습니다. 이미 슈퍼계정으로 들어갔다면"su -c"를 제외한 명령어를 쳐주면 되겠죠? 이렇게 말이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