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어제 배열까지 정리함으로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개념들은 어느정도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슬슬 일도 구해야 되서 jsp와 spring에 대해 포스팅하기 전에 String 문자열 관련 명령어들을 살짝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몇달전 학원에서 강사님이 타자프로그램을 만들어보라 하셨는데 어려웠던 부분이 String 문자열 이더라고요. 그래서 문자열(1)에서는 문장중에 있는 문자를 추출하는 charAt()과 문자열 잘라내기인 substring() 그리고 문자열을 구분하여 배열에 저장하는 split()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문자열(2)글에서는 StringTokenizer에 대해 정리할게요. ■ charAt (문장중에 인덱스 위치에 해당되는 문자 추출하기) 위 예제를 해석하면 aaa에 문장을 저장하고..
어제는 자바의 배열에 대한 특징과 생성, 배열의 길이, 배열의 복사에 대해 정리해보았고요. 오늘은 배열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다차원 배열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다차원 배열중 2차원 배열은 수학에서 행렬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고, 3차원 배열은 입체적인 정사각형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배열을 공부하면서 항상 헷갈렸던 부분은 배열의 인덱스 좌표였는데요. 수학에서 행렬은 원점이 (1,1)부터 시작하지만 배열은 (0,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자주 써보질 않으면 적응이 잘 안됩니다. ■ 2차원 배열의 구조처음 2차원 배열을 공부하면서 학원 강사님이 구구단을 만들어 보라 해서 만들었던게 벌써 7개월전 이네요. 왜 그때는 어렵게만 느껴졌는지 모르겠지만 지금은 다시 공부해보니 ..
드디어 자바에서 개념으로 정리하기 제일 골치아픈 배열에 대해 알아볼 시간입니다.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배열의 특징은 여러개의 데이터들을 저장할때 사용되고 인덱스(Index) 구조에 저장합니다. 배열의 길이는 한번 생성을 하면 줄이거나 늘릴 수 없으며 서로 다른 타입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int로 배열이 선언됬다면 쭉 int만 사용해야 하는데, 문자열을 넣는다고 타입변환을 시도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 여러가지 방법의 배열 생성배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언한 다음 new 연산자를 이용하여 배열을 생성하고, 배열의 길이만큼 값을 할당해주어야 합니다. 사용자의 편의대로 골라서 사용하시면 되는데 제가 알고있는 3가지의 방식은 아래사진과 같습니다. ①번은 한줄에 선언과..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에서 사용되는 필드와 메소드등을 보호하는 보안과 관련된 접근 제한자에 대해 정리할 시간입니다. 접근 제한자는 모든 접근을 허용하는 public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protected, default(friendly), private 이렇게 4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공부를 하면서 이번 접근 제한자를 대충 넘어간다면 나중에 프로젝트를 만들때 큰 혼란이 와서 클래스의 선언부터 꼬일테니 꼭 짚고 넘어가야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별표 다섯개 쾅쾅 ★★★★★ ■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접근을 제한한다라는 뜻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무엇 때문에 어떤 접근을 제한하는지를 알려고 하면 머리가 좀 아파옵니다. 기본적으로 소규모의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면 딱히 중요할것 같지 ..
자바에서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많이 접하게 되는 final은 마지막, 최종적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수나 메소드의 값을 수정할 필요없이 고정시킬때 많이 사용됩니다. 저는 회원가입을 만들때 자바에서는 아이디와 주민번호 타입앞에 final을 넣는데 SQL에서 Primary Key를 설정해둔것 같이 코딩을 하곤 그랬습니다. 보통 final 타입 변수명 = "초기값"; (ex : final String Userid = "jihun";)으로 사용하고 이때 초기값을 설정해주지 않았다면 생성자에서 초기값을 설정해서 사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만약에 생성자에서 초기화 해주는 작업을 잊어버렸다면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하는게 좋습니다. ■ 변수에서 final을 사용하는 경우 final은 변수나 상수에서 선..
메소드를 선언하고 사용하게 되면 리턴문이라는걸 사용하게 되는데요. 리턴값이 있을경우는 메소드 구문 마지막에 return 메소드명; 으로 종료시켜주게됩니다. 하지만 리턴값이 없는 메소드를 그냥 종료시켜주게 되면 구문자체에서 오류가 생기기 때문에 메소드 선언시 void라는 리턴값을 추가시켜줘야 합니다. 뭐 딱히 어려운 부분이 아니니 void를 사용했을때와 사용하지 않았을때 차이점을 비교하면 쉽게 정리가 될 것 같습니다. ■ 메소드에 리턴값이 있는 경우 메소드 선언시 리턴타입인 byte, short, int를 구성하여 선언하면 반드시 return문으로 종료를 시켜줘야 됩니다. 간단하게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구문과 오류가 나는 구문으로 나누어 봤습니다. 파란색으로 강조한 부분인 return문은 메소드를 종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