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바의 데이터는 스트림(Stream)을 통해 입·출력되는데요. 스트림은 기본적으로 단일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이동합니다.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입력받으면 입력스트림, 데이터가 프로그램에서 출력이 되면 출력스트림이라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 입력 스트림 & 출력 스트림- 입력 스트림 : 키보드/ 파일/ 프로그램으로 입력받고 프로그램을 도착지로 향하는 것이 입력 스트림입니다.- 출력 스트림 : 프로그램을 출발지로 모니터/ 파일/ 프로그램으로 향하는 것이 출력 스트림입니다. ■ 바이트 기반 스트림 / 문자 기반 스트림스트림 클래스는 그림,멀티미디어,문자등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바이트 기반 스트림과 문자만 주고받을 수 있도록 특화된 문자 기반 스트림 2종류로 나눌 수..
숫자를 도형의 형태로 나타내는 예제를 다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다룬 세로로 나열하는 식에서 살짝만 바꿨기 때문에 전혀 어렵지 않네요. 위 사진과 같은 순서로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선 소스코드중 11번째줄만을 수정하면 되겠습니다. 보시다시피 세로의 길이를 표현하는 j 의 길이를 i 번째까지만 지정해주면 되겠네요. ■ 출력결과 ■ 소스코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public class Array_Triang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new int[5][5]; int i; int j; int result=0; for(i=0; i
이번글은 숫자를 세로로 나열해볼텐데요. 기본적으로 가로로 1,2,3,4,5가 출력되고, 다음줄에 이어서 6,7,8~~ 순으로 출력이 되기 때문에 그냥 코드를 넣으면 세로의 순서대로 나열되지 않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표현하기 위해서는 2차원 배열을 사용하며 알고리즘을 통해 i와 j를 더한 결과값 result를 출력합니다. 중요 포인트는 소스코드 20번줄을 보시면 출력시에는 배열[ i ][ J ]로 내보내지만, result를 저장하는 부분 14번째줄에서는 배열[ J ][ i ]의 형태로 저장합니다. ■ 출력결과 ■ 소스코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public class Array_Vertic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요즘 취업준비로 인해 한달간 블로그를 못했네요. 이제는 준비가 어느정도 된 시점이라 다시 공부에 박차를 가할 생각입니다. 이번 글에부터는 자바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예제들을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약수를 구하는 예제부터 시작합니다. 약수는 어떤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로 나눗셈식과 곱셈식으로 약수를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8의 약수는 1,2,4,8이 있죠. 또한 10의 약수는 1,2,5,10 입니다. 이번 알고리즘은 약수를 구할 숫자를 scanner로 입력받으면 그 숫자보다 작은 숫자 a로 나누어 0으로 떨어지는 숫자를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 출력화면 ■ 소스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divisor { public static void..
이제 정말 정말 마지막 단계인 AJAX로 본문을 미리보는 단계만 남았습니다. 요 기능이 필요없다면 저번 글까지가 완성단계이고요.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에 필요한 기초 이론들은 JQUERY 게시판에 글을 올렸기 때문에 참고하시거나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보고 오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여기서는 간단하게 소스코드와 기능들에 대한 설명들을 할 생각입니다. ▼ 관련글 2015/12/14 - JQuery〃에이작스(AJAX) 동작원리, 설정, 비동기 요청함수2015/12/10 - 게시판만들기〃(9) Board_List.jsp 작성하기2015/12/08 - Jsp〃[EL]과 [JSTL] 한방에 정리 + Core2015/12/06 - 게시판만들기〃(6) Controller 패키지 작성 그럼 글의 순서는 보드리스트.jsp..
웹 기반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Java나 JSP, HTML 이정도만 알고 있으면 좋으련만 웹 컨테이너의 한계로 프레임워크를 또 공부해야 하네요. 스프링(Spring)은 현재 공공기간이나 대부분의 회사에서 사용될 정도로 배워두면 정말 유용하게 쓰일것 같은데요. 역시 영어로만 이루어져서 한 눈에 보기 어려워 머리가 아픕니다. 그래도 스프링을 안 배우면 웹개발자가 되지 못하니 열심히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스프링을 다루기 위해서는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나 플러그인이 있어야 되는데요. 이 카테고리에서는 이클립스에서 스프링 플러그인을 설치해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스프링 개발툴(STS)을 이클립스(Eclipse)와 연동 이클립스를 실행한다음 상단 메뉴인 Help의 Eclipse Marketplace를..